김빛내리

교수

김빛내리 Kim, V. Narry

김빛내리
연구분야
바이러스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 유전체학 유전학
RNA는 생명 현상의 중심에 있는 물질입니다. 저희 연구실의 목표는 RNA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마이크로RNA
마이크로RNA는 인간 세포의 거의 모든 측면에 관여하고 있는 작은 RNA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RNA의 이상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RNA를 이용하면 질병 원인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자 치료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마이크로RNA가 어떻게 생성되고 가공되는지를 밝혔으며, 마이크로RNA의 기능과 그 조절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RNA 변형
RNA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RNA의 기능과 운명을 결정짓습니다. 저희는 마이크로RNA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한 바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TAIL-seq이라는 기술을 개발하여 mRNA tail의 변형을 유전체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게 했으며, 이를 통해 혼합꼬리(mixed tail)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tail이 존재함을 밝혔습니다. 최근에는 바이러스 감염에 RNA tail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흥미로운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RNA 결합 단백질
RNA는 항상 단백질과 결합한 채로 기능합니다. 따라서 RNA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RNA결합 단백질에 대한 이해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본 연구실은 최첨단의 단백질체 분석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RNA-단백질 네트워크를 조사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복잡한 네트워크를 풀어 냄으로써, RNA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케 할 계획입니다.

바이러스와 RNA
바이러스는 자신의 증식과 방어를 위해 RNA를 제어하는 탁월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들에게는 RNA 조절이 생존 여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대한 연구를 통해 COVID-19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또한 mRNA 백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RNA는 신종 감염병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최고의 백신 플랫폼인 동시에, 개인 맞춤형 암 백신과 희귀질환 치료제로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는 유망한 물질입니다. 저희 연구실은 RNA치료 기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고 RNA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학력/경력
학력
  • - 1994 - 1998 옥스퍼드대학교 생화학 박사
  • - 1992 - 1994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석사
  • - 1988 - 1992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학사
경력
  • - 2017 - 현재 서울대학교 석좌교수
  • - 2013 - 현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 2012 - 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
  • - 2010 - 2016 서울대학교 중견석좌교수
  • - 2008 - 2013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부교수
  • - 2004 - 2008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
  • - 2001 - 2004 서울대 생명과학인력양성사업단 연구교수
  • - 1999 - 2001 펜실베니아대학교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박사 후 연구원
주요논문
  1. J. J. Seo1, S.-J. Jung1, J. Yang, D.-E. Choi, V. N. Kim* (2023) “Functional viromic screens uncover regulatory RNA elements” Cell, 186:3291-3306.
  2. Y. Lee1, H. Kim1, V. N. Kim* (2023) “Sequence determinant of small RNA production by DICER” Nature, 615:323–330.
  3. Y. Lee1, H. Lee1, H. Kim1, V. N. Kim*, S. H. Roh* (2023) “Structure of the human DICER–pre-miRNA complex in a dicing state” Nature, 615:331-338.
  4. D. Kim1, J.-Y. Lee, J.-S. Yang, J. W. Kim, V. N. Kim*, and H. Chang* (2020) “The architecture of SARS-CoV-2 transcriptome” Cell, 181(4):914-921.e10.
  5. J. Lim1, D. Kim1, Y. Lee1, M. Ha, M. Lee, J. Yeo, H. Chang, J. Song, K. Ahn, V. N. Kim (2018) “Mixed tailing by TENT4A and TENT4B shields mRNA from rapid deadenylation” Science, eaam5794.
  6. S. C. Kwon1, T. A. Nguyen1, Y.-G. Choi1, M. H. Jo, S. Hohng, V. N. Kim*, J.-S. Woo* (2016) “Structure of Human DROSHA” Cell, 164(1-2):81-90.
  7. J. Lim1, M. Ha1, H. Chang1, S. C. Kwon, D. K. Simanshu, D. J. Patel, and V. N. Kim (2014) “Uridylation by TUT4 and TUT7 marks mRNA for degradation” Cell, 159(6):1365-1376.
  8. Heo1, M. Ha1, J. Lim, M.-J. Yoon, J.-E. Park, S. C. Kwon, H. Chang and V. N. Kim (2012) “Mono-uridylation of pre-microRNA as a key step in the biogenesis of group II let-7 microRNAs” Cell, 151: 52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