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Home
  • Resources
  • News
  • 강봉균 교수팀, 공포기억 소거법 원리 규명 (Prof. Kaang, Bong-Kiun)

    Aug 10, 2021 l Hit 2329

    [출처: 한국일보] "공포기억, 가려지는 게 아니라 지워진다" ... 한국 과학자, 세계 최초로 메커니즘 발견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0616310005262“나쁜 기억은 영원히 지워지지 않고 잠시 가려질 뿐이라는 학설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서 기억을 저장하고 있는 시냅스가 약화되면 나쁜 기억이 떠오르지 않을 수 있다는 희망적인 사실을 밝혀냈다”>>> 2012-08-10*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 알파폴드 공동발표 (Prof. Martin Steinegger)

    Jul 20, 2021 l Hit 2487

    [출처: Nature]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Deepmind 사와 함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 알파폴드 공동 발표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1-03819-2마틴 스타이네거 교수와 Deepmind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 알파폴드 논문이 Nature지에 게시되었다.또한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는 전세계 연구진들이 인터넷을 통해 알파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2021-07-20 *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이준호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에 선출 (Prof. Lee, Junho)

    Jul 19, 2021 l Hit 2237

    [출처: 연합뉴스] 이준호 서울대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당선https://www.yna.co.kr/view/AKR20210715053600004?input=1195m>>> 2021-07-15*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강봉균 교수팀, 자폐증 관련 새로운 돌연변이 규명 (Prof. Kaang, Bong-Kiun)

    Jul 19, 2021 l Hit 2175

    [출처: 베리타스알파] 서울대 연구팀 자폐증 관련 새로운 돌연변이 규명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76975>>> 2021-07-15*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신승관 교수, 한국응용곤충학회 신진곤충학자상 수상 (Prof. Shin, Seunggwan)

    Jun 14, 2021 l Hit 6516

    [출처: 한국응용곤충학회] 제3회 신진곤충학상 시상식 및 특별강연 안내http://www.entomology.or.kr/notice/view.php?idx=6738>>> 2021-06-14*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 강봉균 교수, '2021 삼성호암상' 수상 (Prof. Kaang, Bong-Kiun)

    Jun 2, 2021 l Hit 4110

    [출처: 세계일보] 31회 ‘삼성호암상’, 봉준호 감독 등 6명 수상https://www.segye.com/newsView/20210601515528“오늘의 영광은 실험실에서 함께 고생한 많은 학생들과 연구원들의 피땀 어린 노력 덕분”>>> 2021-06-02*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이준호·김빛내리·안광석 교수, 최종현학술원 백신 관련 세미나 참석 (Prof. Lee, Kim and Ahn)

    May 28, 2021 l Hit 3213

    [출처: 중앙일보] 세계 코로나 전문가들 "가장 빨리 맞을수 있는 백신 맞겠다"https://news.joins.com/article/24068600 “RNA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이론적으로 모든 유전자를 타깃으로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보장되는 게 장점" “이런 연구를 통해 바이러스의 아킬레스건을 찾아야 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다" >>> 2021-05-28*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김빛내리-김종서 교수 공동 연구팀, 코로나19 증식 억제 단백질 발견 (Prof. Kim, V. Narry and Prof. Kim, Jong-Seo)

    May 27, 2021 l Hit 2178

    [출처: 문화일보] 코로나 증식 억제 단백질 발견… 치료제 개발 새 길 열었다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52601031603009001“이번 연구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계통에 공통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이 있는 반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RNA에만 직접 결합하는 단백질도 있음을 밝혀냈다”“바이...

  • 강봉균 교수 인터뷰 "기억의 변화 밝혀 치매치료 길 열 것" (Prof. Kaang, Bong-Kiun)

    May 11, 2021 l Hit 2531

    [출처: 한국경제] 강봉균 서울대 교수 "기억의 변화 밝혀 치매치료 길 열 것"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51072401“수많은 연구자가 개척한 길을 좀 더 명확하게 한 것일 뿐”“국내에서도 마음 놓고 연구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 환경에 대한 뚝심있는 투자가 절실하다”>>> 2021-05-11*Please find the linked website for more details.

  • 이현숙 교수 인터뷰 (Prof. Lee, Hyunsook)

    May 10, 2021 l Hit 2765

    [출처: 한국경제] "주기적 검사로 방역시스템 개선…코로나 출구전략 세울 때 됐다"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50796551“1년 넘게 이어진 비대면 수업으로 대학교육이 후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컸다”“학내에서 양성 의심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청의 지침을 따라 인근 보건소에서 확인 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