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논단] Genetic code breaker Nirenberg 박사 부고
2010-03-15 l 조회수 5369
Genetic code가 어떻게 해독되었는지 알게 해주는 교과서가 별로 없다는 사실은 상당히 놀랍습니다. Science가 어떻게 발전해 가는 지, 인간들의 연역적 사고가 얼마나 대단한 과학적 발견으로 이어지는 지 보여주는 생물학계의 대표
-
2010-02-04 l 조회수 7904
- 석좌교수 임명 - 생명과학부 부교수 김빛내리 중견석좌교수로 임명함. 2010.02.02 서울대학교총장
-
[새소식] 서울대 백성희 교수팀, 새로운 대장암 억제 인자(RORα)발견
2010-02-01 l 조회수 6539
[ 서울대 백성희 교수팀, 새로운 대장암 억제 인자(RORα)발견 ] - Molecular Cell 誌 발표, “RORα를 통한 대장암 진단 및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 서울대 백성희 교수(39세)와 숙명여대 김근일 교수(43세) 연구팀 이 대장암을 억제
-
[새소식] 서울대(大) 김빛내리, 현택환 교수 신진(新進) 석좌교수 후보 선정
2010-01-07 l 조회수 7020
- 서울대(大) 김빛내리, 현택환 교수 신진(新進) 석좌교수 후보 선정 - 서울대는 6일 석좌교수선정위원회를 열고 현택환(46)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김빛내리(41) 생명과학부 교수를 신진(新進) 석좌교수(가칭) 후보로 선정했다. 서
-
[새소식] [위기의 2009 -희망을 만든 사람들] 김빛내리 서울대교수
2009-12-23 l 조회수 5680
[위기의 2009 -희망을 만든 사람들] 김빛내리 서울대교수 - 마이크로 RNA 빛나는 연구 한국 과학분야 첫 노벨상 기대 - 긴 터널 끝에 한줄기 빛을 발견한 것 같았습니다. 특정 유전자에 따라 정상 초파리가 난쟁이 초파리가 될 수 있
-
[새소식]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팀 - 마이크로RNA 신체 성장 좌우한다
2009-12-11 l 조회수 5832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팀 - 마이크로RNA 신체 성장 좌우한다.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사진)연구팀은 인슐린 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RNA가 신체 성장을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고 10
-
[새소식] [2009 세계대학평가] 한국 대학, 공학·의학·자연과학 등 상승세
2009-10-12 l 조회수 5512
[2009 세계대학평가] 한국 대학, 공학·의학·자연과학 등 상승세 (조선일보 2009.10.09 기사) 사회과학 분야 100위권… 서울대·고려대 두 곳뿐 인문·예술분야도 취약… 서울대 33위·연세대 79위 QS·더타임스 2009 세계대학평가의 5개
-
2009-09-01 l 조회수 4929
- 천종식 교수팀 콜레라 변종 이유 처음 밝혀 - 콜레라 세균이 변종을 일으키는 원인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천종식 교수팀과 국제백신
-
[생명과학논단] [사이언스 에세이] 이현숙교수 - 세포에서 배우는 사회학
2009-08-24 l 조회수 6611
[사이언스 에세이] 세포에서 배우는 사회학 누구나 자신의 창을 통해 세상을 본다. 대학에서 세포에 대해 가르치는 필자는 자주 세포를 통해 인간사를 볼 때가 많다. 살아있는 세포는 역동적이다. 가만히 있는 것 같지만 세포 분
-
[새소식] 김빛내리 교수 - 마이크로RNA 생성조절 단백질 발견
2009-08-24 l 조회수 5129
< 마이크로RNA 생성조절 단백질 발견 >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암 발생 억제와 줄기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마이크로RNA의 생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