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논단] [객원논설위원칼럼] 김상종교수 / 인터넷 재갈을 뿌리치자
2009-01-22 l 조회수 4463
인터넷 재갈을 뿌리치자 / 김상종교수 [한겨례신문 2009. 1. 19 기사] 본 글은 개인적인 견해, 주장입니다. 공익을 해할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정부에 대한 명예훼손 의도가 없음을 밝힙니다. 검찰이 미네르바라는 박아무개씨
-
[생명과학논단] 홍성욱 교수 - 잡종적 지식인 서울대 생명과학부 (세계일보 1월14일)
2009-01-22 l 조회수 5093
[박종현 기자의 대중과 소통하는 학자들] 잡종적 지식인 서울대 생명과학부 홍성욱 교수 한국사회 고질병 대립과 갈등 해소 잡종의 학문 통해 명쾌한 해법 제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캘텍)은 미국 대학들 중 학비 부담에 대비해
-
[새소식]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암세포 연구의 떠오르는 별
2009-01-22 l 조회수 5573
암세포 연구의 떠오르는 별 -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유전자 비밀 규명…암퇴치 감동스토리 만들고 싶어... 깊이 있는 스토리를 만들면 영화나 소설 이상의 감동적인 작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올해 포부를 묻는 질문에
-
[새소식] 김빛내리 교수팀 마이크로 RNA 메커니즘 규명
2009-01-12 l 조회수 4405
김빛내리 교수팀 마이크로 RNA 메커니즘 규명 (한국일보 2009.01.12 기사) 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에서 여러 유전자의 발현 과정을 조절하는 물질인 마이크로 RNA(miRNA)가 생성되고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해냈다. 학계에서는 이 연
-
[새소식] 김경진 교수 - 우울증-불면증 호르몬 조절 메커니즘 규명
2008-12-17 l 조회수 5013
우울증-불면증 호르몬 조절 메커니즘 규명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과 불면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 방법을 알아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경진 교수팀은 우울증 및 불면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코티졸이라는 호르몬의 분비량을 조
-
[새소식] 김빛내리 교수 - 항암유전자 제어 RNA 찾았다.
2008-12-15 l 조회수 4396
항암유전자 제어 RNA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종양억제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마이크로RNA(miRNA)를 찾아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은 14일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 가운데 miR-29 마이크로RNA
-
[새소식] 정구흥 교수 “간암세포 전이는 활성산소가 촉진”
2008-08-18 l 조회수 3449
정구흥 교수 “간암세포 전이는 활성산소가 촉진” 2008년 08월 18일 김상연 동아사이언스 기자 활성산소가 간암 세포의 전이(轉移)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정구흥(사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
[새소식] 김빛내리 교수 -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 여성과학자상 수상
2007-12-13 l 조회수 10675
< 마이크로RNA 형성과정 규명 >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38·사진) 교수가 여성 과학계의 최고상으로 꼽히는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 여성과학자상’을 받는다.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유네스코)와 로레알코리아는 11일
-
[생명과학논단] [객원논설위원칼럼] 김상종교수 / 미국서 1천만㎏ 환수한 미국 쇠고기
2007-10-10 l 조회수 6903
김상종/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한겨레신문 2007.10.8 기사] 미국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다진 쇠고기’ 환수 조처를 지난 9월29일 농무부가 내렸다. 1천만㎏의 햄버거용 쇠고기를 환수시키는 이유는 미국 8개 주에서 32명이
-
[생명과학논단] [생생 생물학]늘어나는 암, 생물학적으론 ‘장수’ 탓 [이현숙 교수]
2007-10-02 l 조회수 7075
[생생 생물학] 늘어나는 암, 생물학적으론 ‘장수’ 탓 [이현숙 교수] < 동아사이언스, 2007년 09월 28일 기사 > 최근 암 환자가 과거보다 늘었다는 얘기가 많다. 산업화로 더 잘살게 되긴 했지만 공기가 나빠지고 스트레스도 많이